류마티스 관절염을 앓고 있는 주부 김모씨는 아침마다 손가락이 저릿저릿하고 등이 뻣뻣해 고생입니다.
의사는 " 최대한 관절을 쓰지 말고 바른 자세로 집안일을 하라"고 말하지만 조언대로 하기란 쉽지 않습니다.
주로 30~40대 여성들에게 많이 발생하는 류마티스 관절염은 일상 생활조차 힘들게 만듭니다.
우리 몸의 관절 이곳 저곳에 관절염을 일으키는 만성 염증성 질환입니다. 초기에는 관절을 싸고 있는 활막에 염증이 발생하지만 점차 연골과 뼈로 염증이 퍼져 관절이 변형되고 제 기능을 못하게 됩니다.
| 류마티스 관절염 | 퇴행성 관절염 | |
|---|---|---|
| 원인 | 명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으나, 자가면역체계의 이상이 주요 기전으로 알려져 있음 | 노화에 따른 관절 연골의 손상, 퇴화 |
| 증상 | 관절이 붓고 열이 나는 증상, 근육통, 피로, 강직 | 관절의 통증, 부종 |
| 발생 부위 | 손가락, 손목, 발가락 관절 등 인체 대부분의 관절 | 고관절, 무릎, 요추(허리등뼈) |
류마티스 관절염의 확실한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으며, 몸 속에 면역체계의 이상으로 생기는 것으로 여겨집니다.
우리 몸은 균이나 바이러스의 침입으로부터 스스로를 방어하는데 이 면역체계가 오히려 자신의 인체를 공격하는 것입니다. 이와 같은 면역성의 이상 외에도 균이나 바이러스 감염, 유전적 소인이 원인으로 생각되지만 아직 확실하게 입증되지는 않았습니다.
류마티스 관절염은 약물치료를 통해 염증을 완화하여 질병의 증상을 경감시키고 병의 진행을 늦출 수 있습니다.그러나 약물치료가 병의 진행을 억제시키거나 완치시키지는 못합니다. 또한 환자에 따라 약의 효과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으니, 반드시 전문의와 상의하셔야 합니다.
일상생활을 할 수 없을 정도로 증상이 심한 경우 전문의와 상의하여 수술치료를 병행할 수 있습니다.
각 의료기관에서 시행하는 관절염 환자 교육 프로그램 이용
증상이 악화되었을 때는 쉬는 시간을 늘리고 염증이 가라 앉을수록 활동량을 늘리는 것이 좋다.
관절염이 심한 활동기에는 약한 정도의 운동만 하는 것이 좋고, 염증이 가라앉을수록 근력을 강화하는 운동 시행.